KDBI 소개
- Home/
- KDBI 소개
“
한인 이민사의 시작은 매우 특별합니다. 우리는 미국 역사상 유일하게, 유럽계 이민자들과 동등한 대우를 받은 아시아 민족으로서 출발했습니다.
이 개척정신의 상징이 바로 서재필 박사입니다. 그는 미국 최초의 아시아계 의사이자 한인 1세대 기업인이었으며, 동시에 한국 독립운동의 선구자였습니다. 그의 업적은 곧 한인 이민사의 출발점이자, 우리의 여정이 시작된 자리이기도 합니다.
오늘날 K-컬처는 전 세계를 휩쓰는 거대한 물결이 되었습니다. K-POP, K-드라마 등 수많은 “K” 브랜드의 이면에는 한국뿐 아니라 미국 내 한인 디아스포라의 힘이 있습니다. 우리는 그것을 자랑하지 않지만, 이미 우리의 특별함은 분명히 증명되었습니다.
크든 작든, 우리의 모든 비즈니스는 미국 사회 곳곳에서 우리가 이뤄내는 모든 위대한 일들의 발판이 되어왔습니다. 비즈니스는 세대 간의 차이를 잇고, 우리를 하나로 묶는 중심이며 존재 이유입니다. ‘널리 인간을 이롭게 한다’는 홍익정신을 공통된 사명으로 삼아, 우리는 비록 수는 적지만 강한 연대를 이루고 있습니다.
이 빛을 더욱 밝히기 위해, 미주 전역의 주요 한인 상공 단체들이 뜻을 모아 Korean Diaspora Business Initiative를 출범시켰습니다.




















주요 산업
재외동포는 이제 주류 미국 사회의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습니다. 다음은, 언어와 문화의 장벽을 넘어 오늘날의 강한 이민 사회를 일구어낸 주요 산업 몇가지를 소개하고자 합니다.

뷰티서플라이
* Retail Sales: $4.2 billion * Wholesale Sales: $2.3 billion * Store Count: Over 6,500 * Key Organizations: NFBS (National Federation of Beauty Supply), Future Beauty Supply Association, BBKWA (Beauty Business Korean Women's Association), Beauty 21 Group.

식품/주류
* Annual Revenue: $20 billion * Store Counts: 5,000 * Growth of K-food is sharply increasing. *:Key Organization: The Korean American Grocers & Licensed Beverage Association (KAGRO International) leads 29 regional chapters.

드라이클리닝
* Annual Revenue: $10 billion * Store Counts: 10,000 stores * Trends: As the 1st gen of Korean Americans retires, the number of businesses is gradually decreasing.. * Key Organizations: Korean American Laundry Owners Association.with chapters.
KDBI 구성 단체와 리더
한민족 비즈니스 연합 (KEBI)
Founded in 2017, registered in 2025, and has applied for 501(c) status
KDBI LEADERSHIP

황병구

김광택

나상규

장현석

박천재, Ph.D.

이상용

TBA
|

나성원
2024년 7월, 애틀랜타에서 열린 제2차 뷰티산업인 리더스 미팅에서 결의된 ‘우편관세 철폐 운동’이 결실을 맺어, 템루(Temu)와 같은 온라인 직판 플랫폼으로부터 소매점들의 이익을 지켜내는 데 성공하였습니다.
이 소중한 경험을 바탕으로, 이제 우리는 더 큰 꿈과 무거운 책임감을 가지고 새로운 발걸음을 내딛고자 합니다.
우리의 조국 대한민국은 우리 모두의 뿌리이자 자긍심입니다. 그 평화와 번영은 전 세계 재외동포들의 삶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쳐왔습니다. 따라서 남북미 관계가 냉각된 현시점에서, 수년째 중단된 개성공단의 재개를 강력히 촉구합니다.
우리는 제3국에 뿌리를 둔 재외한인으로서, 한민족의 구성원이자 세계시민이자 기업인으로서, ‘평화의 가발공장’을 개성에 설립함으로써 한반도 평화의 보증인 역할을 해야 한다고 믿습니다.
평화로운 한반도를 염원하는 이재명 대통령과 정동영 통일부 장관의 취임은 우리 모두에게 새로운 기회를 열어주는 동시에, 한민족의 일원으로서 우리가 져야 할 책임을 일깨워주고 있습니다.
재외 한인 뷰티산업인들은 남과 북, 어느 한쪽이 아닌 제3국에 뿌리를 둔 글로벌 경제 주체로서 생산부터 유통까지 전 세계 공급망을 아우를 역량을 지니고 있습니다.
특히 미국, 동남아, 중남미, 아프리카 등지에서 우리는 지역경제에 실질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이러한 지위는 남북 간 정치적 대립을 넘어 경제협력의 가교 역할을 할 수 있는 강점입니다.
국민주권정부의 정동영 통일부 장관은 개성공단 재개를 핵심 국정과제로 삼고 있습니다. 정동영 장관은 이미 2009년 NBSDA 트레이드쇼 만찬 연설에서, “재외동포 자본이 개성에 투자된다면 남북 모두 정치적 부담이 적고, 미북 관계 개선에도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힌 바 있습니다. 이제 그 비전을 실천해야 합니다.
이재명 대통령은 세계한인의 날을 맞아, 복수국적 허용 연령 하향 문제를 해결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씀하셨습니다. KDBI는 대통령의 말씀을 환영하며, 동포사회의 오랜 염원인 복수국적 허용 범위를 넓히기 위한 국민적 공감대 형성에 적극 동참하겠습니다.
“조국”이라는 한마디에 가슴이 뜨거워지는 재외동포로서, 우리는 이제 뷰티산업인 리더스 미팅을 공식 국제 비영리기구로 확대·전환하여 Korean Expats Business Initiative로 새롭게 거듭나고자 합니다.
조국을 위한 민간 차원의 평화외교와 재외동포 삶의 질 향상의 여정에, 모든 뷰티산업 리더 여러분의 적극적인 동참을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KDBI의 뿌리
KDBI의 설립과 실무를 담당하고 있는 코스모비즈연구소(CosmoBiz Institute)는
2009년에 설립된 비영리단체로, 미주 한인 이민사회의 주요 산업에 대한 연구, 교육, 출판, 교류를 촉진하기 위해 만들어 졌습니다.

연구 및 발행
- 2009 – Present: Published the monthly Korean-language magazine, CosmoBiz.
- 2014: Published the Beauty Consultant’s Textbook (470 pages, English).
- 2015 – 2020: Published the monthly English-language magazine, CosmoBiz Salon.
- 2009 – 2020: Collected beauty industry statistics and published an annual report.
- Developed consumer products and guides based on changing consumer trends.

전문직 교육 및 교재 편찬
- 2010: Developed a wig education curriculum in collaboration with the Korean Wig Association.
- Conducted nationwide traveling training for wig specialists in 7 U.S. cities.
- Provided customized employee training for manufacturing and wholesale companies.
- Conducted product understanding seminars to promote sales.
- Developed and provided training on U.S. commercial law, conflict with customers, and cultural adaptation.

사업발전을 위한 사회봉사
- 2016: Conducted a cooperative association briefing for beauty industry leaders.
- 2017: Established and built the system for the NABOR beauty cooperative.
- 2010 – Present: Provided technical support and assistance for community service activities, such as outreach.
- Mediated to resolve conflicts and complaints between wholesalers and retailers.
- Conducted research on and established beauty industry standards and specifications.

포럼, 세미나, 토론회 운영
The beauty supply industry in the U.S. is vast, with associations for hair product importers, four national associations, and over 30 regional groups. Upon request, free seminars, lectures, and training sessions are provided to each organization.
Additionally, advocacy is carried out for the beauty industry with the U.S. federal and state governments. Specifically, activities are conducted to demand legislative amendments and prevent unreasonable penalties from committees in several state governments that were pushing for mandatory licenses for selling wigs.



